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정호승 '고래를 위하여'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1. 28.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정호승 시인의 「고래를 위하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고래를 위하여」는 정호승 시인이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청년들을 위해 쓴 시입니다. 정호승 시인이 청년들에게 하고자하는 말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정호승 '고래를 위하여'


반응형

시 분석

 

청춘은 창창한 미래를 꿈꾸는 젊은 시절을 말합니다. 이 시에서 청춘은 '푸른 바다'로 표현됩니다. 이때 청춘의 푸른색 이미지를 '푸른 바다'로 표현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화자는 푸른 바다에 '고래'가 없으면 푸른 바다가 아니라고 합니다. 즉, 꿈과 목표를 의미하는 '고래'가 없으면 청춘이 아니라는 뜻이지요. 화자는 우리에게 청춘에는 꿈과 목표를 가지고 정진하는 삶을 살아야함을 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3연에서는 수평선 위로 치솟아올라 별을 바라보는 고래의 모습이 묘사됩니다. 이때 '별'은 희망을 뜻하는 것으로, 고래의 행동을 통해 꿈과 목표를 추구하는 행동을 형상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화자는 우리에게 꿈과 목표를 가지고 정진하는 젊은이들이 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입니다.

 

 

표현상의 특징으로는 1연에서 종결 어미 '아니지'를 반복하고, 3연에서 '바라본다'를 반복함으로써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 앞서 말했듯이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청춘을 '푸른 바다'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 시에는 '고래', '푸른 바다', '별' 과 같은 많은 상징적 시어들이 쓰였습니다. 이렇게 상징적 시어들이 많이 쓰인 작품으로는 윤동주 시인의 「서시」를 들 수 있겠습니다. 「서시」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윤동주 '서시'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윤동주 시인의 「서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윤동주 시인의 「서시」는 순수한 삶에 대한 의지를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바라는 순

honghongkoreanclass.tistory.com


 

지금까지 정호승 시인의 「고래를 위하여」를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