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128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고통받는 여성의 삶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 고통받는 여성의 모습은 어떠한지와 화자는 이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는 여성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남성 중심적 한국 사회의 모습을 비판하는 시입니다. 화자는 시적 대상이자 현대 여성의 전형인 구자명씨의 출근 모습을 관찰하면서 시상을 전개합니다. 구자명씨는 버스를 타고 경기도 안산에서 서울 여의도까지 출근을 합니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버스 밖의 풍경과는 반대로 .. 2023. 11. 29.
박목월 '나그네'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박목월 시인의 「나그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박목월 시인의 「나그네」는 한국적인 정서를 노래하는 시입니다. 이 시에서 말하는 한국적인 정서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는 길을 떠나는 나그네의 모습을 통해 체념과 달관이라는 한국적인 정서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화자는 '구름에 달 가듯이' 길을 갑니다. 이는 체념과 달관의 경지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저 흘러가는대로 간다는 것이죠. 또한 향토적인 소재로 화자가 거쳐가는 공간들을 표현하고, 더불어 3음보의 민요조 가락을 통해 시를 전개함으로써 한국적인 정서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명사로 시를 끝맺음으로써 .. 2023. 11. 29.
신동엽 '향아'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신동엽 시인의 「향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신동엽 시인의 「향아」는 순수한 공동체적 삶의 회복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현재 시적 대상이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화자가 노래하는 순수한 공동체적 삶의 모습은 어떤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의 화자는 향이라는 시적 대상에게 순수한 공동체적 삶으로 돌아가자고 말하고 있습니다. 화자가 말하는 과거 공동체적 삶의 모습은 순수하고 인간성이 상실되지 않고 보존되어 있는 이상적인 모습입니다. 반면에 화자가 비판하고 경계하는 현재의 삶은 허위와 가식으로 가득 차있는 물질문명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자는 청유형 어미 '-자', 명령형 .. 2023. 11. 29.
최영미 '선운사에서'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최영미 시인의 「선운사에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최영미 시인의 「선운사에서」는 만남과 이별에 대한 화자의 생각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바라보는 만남과 이별의 진리는 어떤 것인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는 만남과 이별을 꽃이 피고 지는 것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즉, 사랑이라는 인간사를 꽃의 개화와 낙화라는 자연 현상을 병치하고 있는 것이지요. 1연에서 화자는 꽃이 피는 것은 힘들어도 지는 것은 너무나도 쉽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리고 이 진리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또한 순식간에 지나감을 깨닫게 되지요. 2연에서 화자는 이별의 아픔과 슬픔이 꽃이 지는 .. 2023. 1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