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128 정호승 '고래를 위하여'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정호승 시인의 「고래를 위하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고래를 위하여」는 정호승 시인이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청년들을 위해 쓴 시입니다. 정호승 시인이 청년들에게 하고자하는 말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청춘은 창창한 미래를 꿈꾸는 젊은 시절을 말합니다. 이 시에서 청춘은 '푸른 바다'로 표현됩니다. 이때 청춘의 푸른색 이미지를 '푸른 바다'로 표현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화자는 푸른 바다에 '고래'가 없으면 푸른 바다가 아니라고 합니다. 즉, 꿈과 목표를 의미하는 '고래'가 없으면 청춘이 아니라는 뜻이지요. 화자는 우리에게 청춘에는 꿈과 목표를 가지고.. 2023. 11. 28. 정지용 '인동차'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정지용 시인의 「인동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정지용 시인의 「인동차」는 부정적 현실을 견디고자 하는 의지를 노래하는 시입니다. 시에서 말하는 부정적 현실은 어떠한지, 어떤 표현을 통해 의지가 형상화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는 시적 대상인 노주인이 겨울을 나는 모습을 관찰함으로써 정신적 고결함을 지키는 것에 대해 노래하고 있습니다. 노주인은 혹독한 겨울날에 산중 방안에서 인동차를 마시며, 시간이 흘러가는 것에 개의치 않고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화자는 이러한 노주인의 모습 관조적으로 바라보면서 부정적인 현실 상황 속(일제 강점기)에서도 정신적 고결함을 잃지 않고 .. 2023. 11. 28. 정지용 '고향'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오늘은 정지용 시인의 「고향」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정지용 시인의 「고향」은 고향의 과거 모습을 그리워함으로써 느껴지는 상실감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그리워하는 과거 고향의 모습은 어떤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시 정리시 분석 이 시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고향'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는 돌아온 고향의 모습에서 상실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화자가 상실감을 느끼는 이유는 고향의 모습이 바뀌었기 때문이 아닙니다. 오히려 고향의 모습은 과거 화자가 보았던 모습과 동일합니다. 이것을 시에서는 '산꿩', '뻐꾸기' 등과 같은 자연물을 통해 드러내고 있습니다. 결국 화자가 고향에 대한 상실감을 .. 2023. 11. 28. 박목월 '윤사월'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박목월 시인의 「윤사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박목월 시인의 「윤사월」은 늦은 봄의 정경과 눈먼 처녀의 안타까운 삶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윤사월의 풍경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고, 눈먼 처녀가 느끼는 비애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는 기-승-전-결의 구조에 7·5조, 3음보의 민요조 율격을 더하여 쓰였습니다. 또한 앞부분에 정경을 말하고 뒤에 정서를 담은 선경후정의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합니다. 선경후정이란 시의 앞부분에 정경을 말하고, 시의 뒷부분에서 화자의 감정을 말하는 표현 방식입니다. 이 시의 제목인 '윤사월'은 시간적 배경으로 늦봄 혹은 초여름을 일컫는 말입니다.. 2023. 11. 28.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