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128

이육사 '절정'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이육사 시인의 「절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육사 시인의 「절정」은 극한까지 내몰린 화자가 초월적 인식을 경험하는 것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처한 상황은 무엇인지 ,경험한 초월적 인식이란 무엇인지, 초월적 인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는 화자가 현재 얼마나 절망적인 극한의 상황까지 내몰리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1연에서 '매운 계절'이란 일제 강점기의 가혹한 현실을 의미하고 '채찍'은 그런 일제에 의한 탄압과 억압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일제의 탄압과 억압에 의해 화자는 '북방'으로 휩쓸려 옵니다. 이때 '북방'은 수평적 공간의 극한 지점입니다. .. 2023. 11. 17.
정현종 '섬'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정현종 시인의 「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정현종 시인의 「섬」은 인간관계에서의 탈출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인간관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의 화자는 인간관계에서의 탈출을 하고자 합니다. 이때 탈출이란 단어에는 벗어나고자 하는 화자의 의지와 다시 연결하고자 하는 화자의 의지가 모두 담겨 있습니다. 이 말인 즉슨, 너무 복잡한 인간관계에서는 벗어나고자 하고, 단절된 인간관계는 다시 연결하고 싶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기에 1행의 '섬'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단절'을 의미할 수도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2행에서.. 2023. 11. 16.
함민복 '봄꽃'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함민복 시인의 「봄꽃」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함민복 시인의 「봄꽃」은 봄꽃의 힘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는 봄꽃에 어떠한 힘이 담겨있다고 생각하는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는 일상적으로 쓰이는 시어를 짧은 시행으로 구성하여 '봄꽃'에 대한 화자의 생각을 간결하고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시의 전개 과정은 단순합니다. 꽃의 부드러움에 찔리면(1연) 마음이 치유되고(2연, 3연) 여기서 우리는 꽃의 힘을 느낄 수 있다(4연)는 것이죠. 표현상의 특징으로는 부드러움에 찔린다는 표현이나 '꽃침'이라는 시어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상반된 시어를 연결하는 역설법이 쓰였다는.. 2023. 11. 16.
김영랑 '오매 단풍 들것네'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김영랑 시인의 「오매 단풍 들것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김영랑 시인의 「오매 단풍 들것네」는 가을의 정취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가을의 정취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는 가을의 정취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다가오는 가을을 맞이하는 누이와 화자의 태도는 사뭇 다릅니다. 이러한 태도의 차이를 대조함으로써 시상이 전개되고 있는데, ‘오-매, 단풍 들것네.’라는 시행을 통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1연에서 쓰인 ‘오-매, 단풍 들것네.’는 누이가 말하는 것입니다. 1행에서 사용된 ‘오-매, 단풍 들것네.’를 통해 누이가 훌쩍 다가온 가.. 2023. 1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