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김영랑 '오매 단풍 들것네'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1. 16.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김영랑 시인의 「오매 단풍 들것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김영랑 시인의 「오매 단풍 들것네」는 가을의 정취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가을의 정취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김영랑 '오매 단풍 들것네'


반응형

시 분석

 

이 시는 가을의 정취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다가오는 가을을 맞이하는 누이와 화자의 태도는 사뭇 다릅니다. 이러한 태도의 차이를 대조함으로써 시상이 전개되고 있는데, ‘오-매, 단풍 들것네.’라는 시행을 통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1연에서 쓰인 ‘오-매, 단풍 들것네.’는 누이가 말하는 것입니다. 1행에서 사용된 ‘오-매, 단풍 들것네.’를 통해 누이가 훌쩍 다가온 가을을 느끼고 놀란 모습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을의 정취를 느끼기보단 곧 다가올 민족 대명절 추석을 준비해야 한다는 걱정이 들기 시작합니다. 그런 생각에서 누이는 다시 한 번 ‘오-매, 단풍 들것네.' 라고 하는 것입니다.  누이의 걱정어린 모습을 본 화자는 2연에서 ‘오-매, 단풍 들것네.’라고 말하면서 걱정은 접어두고 가을의 정취를 마음껏 즐기라고 누이에게 권하고 있습니다. 

 

 

표현상의 특징으로는 같은 시행을 반복함과 동시에 대조를 함으로써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 전라도 사투리를 사용하여 향토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점, ‘오-매, 단풍 들것네.’ 라는 시구를 반복함으로써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김영랑 시인의 「오-매 단풍 들것네」를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