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김춘수 시인의 「부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김춘수 시인의 「부재」는 존재의 유한함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존재의 유한함이란 삶과 죽음이 계속해서 순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화자가 어떤 대상들을 통해 존재의 유한성을 노래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시 분석
이 시의 화자는 자연 현상을 바라보고 그곳에서 존재의 유한성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그 존재의 유한성에서 사람 또한 자유롭지 못함을 깨닫습니다. 위의 분석에서 네모 표시가 된 것들이 화자가 발견한 유한한 존재들입니다. 1연에서의 '바람'은 생겼다가 사라지는 존재입니다. 이때 바람이 오면 울타리는 슬픈 소리로 운다고 합니다. 이때 '울었다'라는 행위는 울타리를 사람처럼 표현하는 의인법이 쓰였음과 동시에 화자가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는 감정 이입의 기법이 쓰였습니다.
2연에서 나오는 유한한 존재는 '맨드라미, 나팔꽃, 봉숭아'입니다. 이들도 철이 되면 피고 다시 지는 순환을 반복하는 유한한 존재들입니다.
3연에서 나오는 유한한 존재는 '햇살'입니다. 햇살이 왜 유한한 존재인지 읽으면서 궁금하셨던 분들이 계실텐데요. 그것은 바로 밤이 되면 햇살 또한 우리의 눈에서 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에서 화자는 '햇살'을 유한한 존재로 본 것입니다. 이때 '외롭게'에서 감정 이입이 쓰였고, '낮잠을 졸다 갔다'라는 표현에서 의인법이 쓰인 것도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4연에서는 위의 존재들에서 발견한 존재의 유한성이 결국 인간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리고 시가 마무리되죠. 결국 이 시에서 화자는 여러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표현하고 그것에서 존재의 유한성을 발견하고, 그 깨달음 끝에서 인간 또한 유한한 존재임을 발견한 것입니다.
지금까지 김춘수 시인의 「부재」를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림 '수유나무에 대하여'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2.19 |
---|---|
허영자 '씨앗을 받으며' 해설/해석/분석/정리 (1) | 2023.12.19 |
기형도 '바람의 집-겨울 판화 1'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2.19 |
황동규 '삶을 살아낸다는 건' 해설/해석/분석/정리 (1) | 2023.12.19 |
김기택 '봄날'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2.13 |
윤동주 '소년'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2.13 |
김남조 '생명'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2.13 |
나희덕 '성 느티나무'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