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1. 29.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고통받는 여성의 삶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 고통받는 여성의 모습은 어떠한지와 화자는 이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반응형

시 분석

 

이 시는 여성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남성 중심적 한국 사회의 모습을 비판하는 시입니다. 화자는 시적 대상이자 현대 여성의 전형인 구자명씨의 출근 모습을 관찰하면서 시상을 전개합니다. 구자명씨는 버스를 타고 경기도 안산에서 서울 여의도까지 출근을 합니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버스 밖의 풍경과는 반대로 구자명씨는 부처님처럼 졸기 바쁩니다. 이때 부처님처럼 졸고 있다는 것은 버스 밖의 풍경이 바뀌고 계절이 바뀌는 것을 인식하지도 못한 채 정신없이 졸기 바쁜 모습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구자명씨가 바깥 풍경을 살피지도 못한 채 정신없이 졸기 바쁜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직장 일과 가사를 모두 도맡아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화자는 버스에서 조는 구자명씨의 모습을 통해 구자명씨가 가정에서 힘든 일을 도맡아하는 모습을 유추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연민이 가득 느껴지는 어조로 이야기 합니다. 이러한 유추와 연민이 가득찬 어조로의 변화는 구자명씨의 삶의 모습을 집중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연민을 느끼게 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졸고 있는 구자명씨의 모습에서 고단한 여성의 삶을 유추한 화자는 이내 구자명씨의 아픔을 '팬지꽃 아픔', '안개꽃 멍에'로 표현합니다. '팬지꽃'은 출퇴근 버스에 꾸벅꾸벅 조는 구자명씨의 모습을 '안개꽃'은 가족을 빛내기 위해 뒤에서 희생하는 구자명씨의 모습을 의미합니다. 결국 가정의 평안함은 모두 여성의 희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말하고자 한 것입니다.

 

 

그리고 21행에서 '여자가'로 시어의 의미가 확대됩니다. 이는 지금까지는 화자가 구자명이라는 한 개인의 아픔과 희생을 말해왔다면, 이제는 그 개인의 아픔과 희생을 한국 사회 여성 전체로 확대시키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남성 중심 사회 속에서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여성들이 '죽음의 잠'을 거부하려 애쓴다고 합니다. 이때 '죽음의 잠'은 깊이 잠듦 혹은 너무나도 피곤함 두가지의 의미를 지니는 중의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마지막에는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는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 의식이 드러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를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