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김소월 '초혼'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1. 4.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김소월 시인의  「초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시 정리

김소월 '초혼'


반응형

시 분석

'초혼'은 죽은 이의 이름을 3번 부름으로써 혼을 불러들여 죽은 사람을 다시 살려내는 의식을 말합니다. 김소월 시인의 대부분의 작품이 소극적이고 체념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과 다르게 이 작품은 특이하게 화자가 격정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1연에서는 사랑했던 이의 이름을 부르면서 이별에 대한 슬픔과 절규를 보여줍니다. 이때 '~ 이름이여!'라는 통사구조를 반복하는 것과 역설적인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화자가 느끼는 슬픔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 나타내고 있습니다.

 

2연에서는 임에게 미처 사랑 고백을 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는 화자의 모습이 드러납니다. 이를 통해 임이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3연에서는 해질녘의 시간적 배경에 산이라는 공간적 배경 속에서 사슴 무리와 '나'가 서럽게 우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때 '사슴 무리'는 나와 동일한 감정을 느끼고 있는 감정이입의 대상입니다. 또한 해질 무렵이라는 시간적 배경은 삶과 죽음의 경계, 산이라는 공간적 배경은 땅과 하늘의 경계를 나타냅니다. 이는 화자가 있는 현실과 죽은 임이 있는 영원의 세계를 완전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두 사람은 앞으로 절대로 만날 수 없다는 절망적 한계를 보여주는 표현인 것입니다. 이것은 4연에서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라는 시구를 통해 더욱 확실시됩니다. 화자 또한 저승과 이승의 거리가 너무나도 멀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죠.

 

마지막으로 5연에서는 화자가 선 채로 돌이 되어 죽어도 임의 이름을 부르겠다고 합니다. 이때 '돌'은 임의 죽음을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반드시 다시 살아돌아오라는 한의 응결체이며, 망부석 설화에 그 모티프를 두고 있는 표현입니다. 결국 화자는 임의 죽음을 통해 허무의 초극을 이루어가는 과정에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김소월 시인의  「초혼」을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