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박목월 '산도화'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2. 8.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박목월 시인의 「산도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박목월 시인의 「산도화」는 화자가 꿈꾸는 이상 세계를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꿈꾸는 이상 세계의 모습은 어떤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박목월 '산도화'


반응형

시 분석

 

이 시에서 화자는 직접 드러나지 않습니다. 그저 화자가 꿈꾸는 이상향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을 뿐이죠. 시상 전개는 원경에서 근경으로의 시선 이동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대상을 한꺼번에 제시하지 않고 '산-산도화-물-암사슴'으로 시선이 이동함으로써 독자들의 시선을 한 곳에 집중시키고 있지요.

 

 

1연에서 말하는 '구강산'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공간입니다. 그리고 이 산은 '보랏빛'으로 빛나고 있죠. 이는 화자가 상상하는 평화롭고 아름다운 이상 세계의 모습입니다. 

 

 

2연부터는 근경으로 들어옵니다. 첫 관찰 대상은 이 시의 제목이기도 한 '산도화'입니다. '산도화'는 산에 피는 복숭아꽃입니다. 이는 동양에서 이상 세계의 대명사로 불리는 무릉도원을 연상케하는 소재로, 읽는 이로 하여금 생명의 탄생으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을 의미합니다. 

 

 

3연에서는 겨울에서 봄으로의 계절의 변화가 드러납니다. 그리고 눈이 녹아 흐르는 '물'은 맑고 순수한 이미지를 지닙니다.

 

 

4연에서 등장하는 '사슴'은 동양화에서 평화로운 정경을 말하고자 할 때 자주 쓰이는 소재입니다. 이 시에서 '암사슴'을 등장시킨 이유 또한 이상 세계의 평화로운 모습을 강조하기 위해서이죠. '암사슴'은 고결하고 순수한 이미지로, 생동하는 생명체의 모습을 대표합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결국 이 시는 화자가 바라는 이상 세계의 모습을 한 편의 동양화를 감상하는 것과 같이 표현함과 동시에 그 안에서 생명 탄생의 아름다움에 대해서 노래하는 작품인 것입니다.


 

지금까지 박목월 시인의 「산도화」를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