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백석 '여승'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2. 8.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백석 시인의 「여승」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백석 시인의 「여승」은 한 여인의 비극적인 삶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여인이 처한 비극적 삶의 모습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백석 '여승'


반응형

시 분석

 

이 시의 시대적 배경은 일제 강점기입니다. 이 시는 일제 강점기라는 부정적 현실 속에서 일어난 가족 공동체 붕괴를 겪은 여인의 슬픔을 노래하고 있는 것입니다. 시적 화자는 여인이 어떻게 여승이 되었는지의 과정을 관찰하는 관찰자입니다. 그렇기에 시를 전개함에 있어 화자의 감정은 최대한 절제되어 드러납니다. 

 

 

1연은 이미 여승이 된 여인과 화자의 재회를 그리고 있습니다. 화자가 만난 여승은 '가지취의 내음새'라는 후각적 이미지로 속세와 단절된 삶을 오랫동안 해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곧이어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을 것으로 추측되는 여인에 대한 연민을 드러냅니다.

 

 

1연은 현재의 모습을 그렸다면 2연부터 4연까지는 화자가 과거에 보았던 여인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즉, 이 시는 역순행적 구성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는 것입니다. 2연에서는 화자와 여인의 첫 만남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때 공감각적 심상을 이용하여 여인의 힘겨운 삶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3연에서는 돈을 벌기 위해 나간 남편이 돌아오지 않고, 어린 딸마저 잃은 여인의 모습을 그림으로써 비극적인 삶의 모습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4연에서는 '산 꿩도 섧게 울은'이라는 청각적 표현을 통해 감정 이입을 함으로써 여인의 힘겨운 모습을 더욱 심화키셔 보여줍니다. 그리고 결국 이러한 불행한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여인이 '산 절'에 들어갑니다. 이때 '산 절'은 여인이 현실의 고통을 초월하기 위한 공간으로 해석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여승이 되기 위해 삭발하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여인의 한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눈물방울과 같이'는 중의적 표현으로써 '눈물방울처럼' 혹은 '눈물방울과 함께' 라는 두 가지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에서는 일제 강점기에서의 여성의 고단한 삶에 대해 노래하고 있습니다. 이와는 조금 다르게 현대 사회에서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여성에 집중한 작품도 있습니다. 바로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입니다.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고통받는

honghongkoreanclass.tistory.com


 

지금까지 백석 시인의 「여승」을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