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김남조 '생명'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2. 13.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김남조 시인의 「생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김남조 시인의 「생명」은 생명의 본질에 대한 화자의 깨달음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는 고통이 있어야 비로소 생명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화자가 이러한 자신의 생각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김남조 생명


반응형

시 분석

 

이 시는 화자가 깨달은 생명의 본질에 대해 노래하고 있습니다. 1연에서 볼 수 있듯이 '생명'은 추운 몸으로 온다고 합니다. 그리고 생명의 근원을 뜻하는 '생명의 어머니' 또한 추운 몸으로 온다고 합니다. 즉, '생명'이라는 것은 고통과 고난을 이겨낸 후에 얻을 수 있는 것이라는 화자의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생명의 본질에 대한 화자의 깨달음은 '초록의 겨울보리', '겨울 나무들', '함박눈 눈송이'를 통해 형상화됩니다. 이는 추상적 관념인 '생명'을 구체화하였기에 추상적 관념의 구체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추상적 관념의 구체화는 2연에서 '진실'을 구체화하는데 다시 한 번 사용됩니다.

 

 

3연에서는 '겨울 나무들'이 고통을 통해 성숙해지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어 4연에서는 고통과 상처를 감싸주는 삶을 지향하는 화자의 생각이 확고하게 드러납니다. 5연에서는 '생명'이 수많은 고난을 의미하는 '열두 대문'을 극복하고 '함박눈 눈송이'로 오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는 고통 끝에 결국 생명이 결실을 맺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김남조 시인의 「생명」을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