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김선우 시인의 「단단한 고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김선우 시인의 「단단한 고요」는 도토리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도토리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고, 이를 통해 무엇을 떠올리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반응형
시 분석
이 시는 나무에 매달려 있는 도토리가 땅에 떨어지고 건조된 후 가루가 되고 묵이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임에도 미각적 표현을 사용하는 대신 청각적 표현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도토리를 의인화하여 마치 사람인 것처럼 표현하고 있습니다. 도토리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하는 소리'라는 동일한 시어와 유사 통사 구조를 반복함으로써 운율을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소리들을 응축시켜 고요로 표현한 점도 특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김선우 시인의 「단단한 고요」을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용운 '사랑하는 까닭' 해설/해석/분석/정리 (2) | 2023.11.15 |
---|---|
한용운 '알 수 없어요' 해설/해석/분석/정리 (2) | 2023.11.15 |
정호승 '상처는 스승이다'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1.15 |
나희덕 '산속에서' 해설/해석/분석/정리 (1) | 2023.11.15 |
조지훈 '낙화'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1.15 |
김수영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해설/해석/분석/정리 (2) | 2023.11.14 |
나태주 '촉' 해설/해석/분석/정리 (0) | 2023.11.14 |
정호승 '수선화에게' 해설/해석/분석/정리 (2)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