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백석 '백화'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1. 16.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백석 시인의 「백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백석 시인의 「백화」는 산골 사람들의 삶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산골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백석 '백화'


반응형

시 분석

 

이 시는 산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그것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시의 제목인 '백화'는 '흰 자작나무'를 의미합니다. 시 속에서 '자작나무'는 가장 중요한 핵심 시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산골 사람들의 집, 정신적 삶, 생활의 모든 것들이 모두 '자작나무'라고 하면서 말이죠. 흰 자작나무는 흔히 '탈속적' 느낌을 지닌 시어라고 불리웁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나무들은 초록빛을 띄는 것에 비해 흰 자작나무는 모든 것이 하얗기 때문이죠.

 

 

깨끗함, 순수함을 의미하는 흰 자작나무에 둘러싸여 있는 자연에서 살아가는 산골 사람들은 소박하고도 순수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화자는 이러한 모습을 보며 자신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느끼고 있죠. 화자의 고향은 마지막 행의 '평안도 땅'에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행에서의 '여우'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삶을 의미하는 시어로 자주 사용됩니다. 즉, '산골 사람들의 여우도 자작나무다' 라는 시구는 산골 사람들의 정신적 삶이 곧 자작나무와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3행과 4행에서는 산골 사람들의 생활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향토적 음식인 '메밀국수' 를 만드는 장작도 자작나무고,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 요소인 물을 얻는 '박우물'도 자작나무라고 합니다. 이는 산골 사람들의 생활이 자작나무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을 즉, 산골사람들이 순수하게 살아가고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마지막 5행에서 화자는 산골 마을이 모두 자작나무라고 합니다. 결국 지금까지 화자가 묘사한 온통 자작나무인 산골 마을은 화자의 기억 속에 존재하는 아름다운 고향의 모습이며, 이를 통해 화자가 얼마나 고향을 그리워하고 있는지 우리는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표현상의 특징으로는 백석 시인답게 향토적, 토속적 시어를 사용하여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것, 보조사 '~도'를 반복해서 활용함으로써 시적 안정감을 부여하고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백석 시인의 「백화」와 비슷한 시로는 정지용 시인의 「향수」를 들 수 있겠습니다. 두 시는 모두 화자가 고향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입니다. 다만 「향수」에서는 순수한 공간인 '고향'에 초점을 맞춰 시상을 전개하는 반면, 「백화」는 고향을 살아가고 있는 순박한 '사람'들에 초점을 맞춰 시상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를 보입니다. 「향수」에 대한 더 자세한 분석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정지용 '향수'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정지용 시인의 「향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 시는 화자가 평화로웠던 기억 속의 고향을 회상하면서 느끼는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습

honghongkoreanclass.tistory.com


 

지금까지 백석 시인의  「백화」를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