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박목월 '청노루'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1. 11.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박목월 시인의 「청노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박목월 시인의 「청노루」는 봄의 아름다운 정경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봄의 정취와 정경을 어떤 표현으로 묘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박목월 '청노루'


반응형

시 분석

 

이 시는 봄의 정경과 정취를 다양한 표현 기법을 통해 묘사함으로써 순수하고 평화로운 세계를 동경하는 화자의 염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시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바로 원경(먼 거리의 경치)에서 근경(가까운 거리의 경치)으로 시선이 이동함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무슨 말인지 처음에는 이해가 잘 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한번 볼까요? 

 

 

1연에서는 '머언(시적 허용) 산 청운사'에 있는 낡은 기와집을 바라봅니다. 2연에서는 '자하산'을 바라보고 있지요. 3연에서는 더욱 가까운 거리에 있는 '느릅나무'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4연에서는 그보다 더 가까운 거리에 있는 '청노루'의 맑은 눈을 바라보고 있지요. 이처럼 화자의 시선 이동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는 방식은 앞서 말한 모든 풍경이 결국 '청노루'의 맑은 눈에 비춰서 보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줍니다.

 

 

또한 동적 이미지와 정적 이미지의 조화를 통해 시상을 전개합니다. 이때 정적 이미지는 '청운산, 기와집, 자하산' 동적 이미지는 '청노루, 구름'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적인 이미지는 말 그대로 움직임이 적은 것이고, 동적인 이미지는 움직임이 활발한 것을 말합니다. '청노루, 구름'은 끊임없이 움직이므로 동적 이미지에 들어간다는 것은 이해가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마찬가지로 '기와집, 청운산, 자하산'은 그 자리에서 멈춰 있는 것이므로 정적 이미지에 들어갑니다. 더불어 '청운산'은 푸른색 이미지, '자하산'은 보라색 이미지입니다. 이는 푸른색과 보라색의 색체 대비가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박목월 시인의  「청노루」를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