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백석 '흰 바람벽이 있어'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3. 11. 21.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백석 시인의 「흰 바람벽이 있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백석 시인의 「흰 바람벽이 있어」는 낯선 곳에서 고단한 삶을 살아하는 화자가 느끼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는 시입니다. 화자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문을 읽어본 후에 자세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시 정리

백석 '흰 바람벽이 있어'


반응형

시 분석

 

이 시의 화자는 고향이 아닌 곳에서 외로움과 쓸쓸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4~5행을 보면 타향에서 쓸쓸하게 살아가는 화자의 삶은 녹록치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좋지 못한 환경에서 화자는 자신이 있는 좁은 방의 흰 바람벽을 바라봅니다. '흰 바람벽'은 '거울'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즉, 화자의 내면 세계를 비추는 매개체라는 것이죠. 화자는 흰 바람벽에 비추는 그리운 대상들을 바라봅니다. 그리고 곧 이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인식하고 체념적 태도를 보이죠. 하지만 화자는 운명론적 태도를 보이며, 모든 것은 하늘이 정해준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고단한 삶 속에서도 고결한 태도를 잃지 않으려는 의지를 보여주며 시는 끝이 납니다. 

 

 

화자는 여러 표현을 통해 자신의 현실, 내면 세계, 의지 등을 형상화하고 있고, 감각적 표현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상의 전개는 화자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시상 전환이 크게 3번 일어나는데 이는 위의 분석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시의 마지막 부분에는 하늘이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을 열거법을 통해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과 그 전개 방식이 유사합니다.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에 대한 자세한 해석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윤동주 '별 헤는 밤' 해설/해석/분석/정리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은 자기 성찰을 함과 동시에 부정적인 현실 속에서 아

honghongkoreanclass.tistory.com


 

지금까지 백석 시인의 「흰 바람벽이 있어」를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