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김소월 '길' 해설/해석/분석/정리

by 홍홍쌤 2024. 3. 14.

안녕하세요 홍홍쌤입니다~

오늘은 김소월 시인의 「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시 원문

어제도 하로밤

나그네 집에

가마귀 가왁가왁 울며 새였소.

 

오늘은 

또 몇 십 리

어디로 갈까.

 

산으로 올라갈까

들로 갈까

오라는 곳이 없어 나는 못 가오.

 

말 마소, 내 집도

정주 곽산

차 가고 배 가는 곳이라오.

 

여보소, 공중에

저 기러기

공중엔 길 있어서 잘 가는가?

여보소, 공중에 

저 기러기

열 십자 복판에 내가 섰소.

 

갈래갈래 갈린 길

길이라도 

내게 바이 갈 길은 하나 없소.


반응형

시 분석

이 시는 의지할 곳 없이 유랑하면서 느끼는 화자의 고독과 서글픔을 스스로 묻고 답하는 독백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1연에서는 어느 나그네의 집에서 울며 밤을 지새운 화자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때 '가마귀'는 화자의 암담한 마음을 의미하고, 1연에서는 결국 화자가 처한 현실 상황을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죠.

 

2연과 3연에서는 어디로 갈지 갈피조차 잡지 못하는 화자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일제 강점기 당시 일제의 탄압을 피해 북간도로 이주한 유랑민 혹은 일제에 의해 수탈당하던 우리 민족들의 모습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4연에서는 1연~3연에서 보여주었던 암울한 현실 상황의 모습에서 느껴지던 암담한 분위기를 전환시킵니다. 자신의 고향을 자랑함으로써 자기 위안을 하고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어서 5연에서는 공중을 나는 '기러기'를 선망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자신은 '열 십자 복판'에 서 있다고 하죠. 이때 열 십자 복판이란 화자가 현재 자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전혀 정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표현입니다. 그리고 이런 자신과는 다르게 길 조차 없어보이는 공중에서도 잘 가는 기러기를 부러워하고 있는 것이죠. 이때 '공중'은 희망과 자유의 공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6연에서도 화자는 끝내 자신이 가야 할 방향을 정하지 모합니다. 그저 자신이 갈 길은 하나도 없다고 하며 시를 마무리 짓죠.

 

결국 이 시의 화자는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잡지 못한 자신과는 다르게 자유의 공간인 공중에서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기러기를 선망함과 동시에 절망으로만 가득 차 있는 열 십자 갈림길에 서 있는 자신의 현재 상황을 서러워하고 있는 시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김소월 시인의 「길」을 학습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반응형